ShaderLab Basics
유니티 ShaderLab 기초 지식 전체적인 구조 Shader "Lit/CustomLitShader" <-- 셰이더의 이름 { Properties <-- _MainTex처럼 외부에서 들어오는 파라미터 목록 { ... } SubShader <...
유니티 ShaderLab 기초 지식 전체적인 구조 Shader "Lit/CustomLitShader" <-- 셰이더의 이름 { Properties <-- _MainTex처럼 외부에서 들어오는 파라미터 목록 { ... } SubShader <...
유니티 스크립트의 세 가지 초기화 이벤트 서론 유니티를 배울 때 가장 헷갈리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초기화용 이벤트가 세 가지나 있다는 점이다. 공식 문서의 도표와 설명을 봐도 굳이 셋이나 존재할 이유가 있는지는 불명확하다. 유니티 2022.1 Documentation - 이벤트 함수의 실행 순서 일단 Awake -> OnEnable ->...
스프라이트 시트를 사용할 때 UV 좌표 구하기 무엇이 문제인가? 2D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 각 프레임의 이미지를 옆으로 이어붙인 하나의 커다란 이미지를 스프라이트 시트라고 부른다. 실제로는 sprite editor에서 개별 이미지를 slice해서 사용하므로 우리 눈에는 한 시점에 전체 시트의 한 부분만 보이게 된다. 하지만 위에 있는 스프라이트...
셰이더를 위한 좌표공간 개념 서론 우리에게 cup.obj라는 컵 모양의 3D 모델 파일이 있다고 상상해보자. cup.obj 파일을 열어보면 컵의 정점들에 대한 좌표가 들어있을 것이다. 예를 들어, 컵의 손잡이 좌표는 (0, 1, 0)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. 여기서 (0, 1, 0)는 대체 무슨 의미일까? 주전자의 바닥을 기준으로 1만큼 위에 있다는...